기도내이물질 흡인이 의심되는 소아에서 영상 소견들의 진단적 정확성

기도내이물질 흡인이 의심되는 소아에서 영상 소견들의 진단적 정확성

Diagnostic accuracy of radiologic findings in children with suspected foreign body aspiration

(구연):
Release Date : 2017. 10. 27(금)
Yu-Mi Park, Na Yeong Lee, Kyung Hoon Kim, Hye Jin Lee, Eun Ae Yang, Hwan Soo Kim, Yoon Hong Chun, Jong-Seo Yoon, Hyun Hee Kim , Jin Tack Kim
Catholic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Pediatrics1
박유미, 이나영, 김경훈, 이혜진, 양은애, 김환수, 전윤홍, 윤종서, 김현희 , 김진택
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1

Abstract

제목: 기도내이물질 흡인이 의심되는 소아에서 영상 소견들의 진단적 정확성 목적: 기도내이물질 흡인이 의심되는 소아환자의 진단에 있어서 영상학적 소견들의 진단적 정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. 방법: 2012년 1월부터 2017년 6월 까지 기도내이물질 흡인이 의심되어 3차 종합병원을 내원한 32명 소아환자의 진료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. 분석 내용에는 나이, 성별, 증상 및 징후, 영상학적 소견들, 기관지 내시경 소견, 이물질의 종류와 위치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chest AP 나 PA와 chest down decubitus 소견, chest CT 소견의 진단적 가치를 분석하였다. 결과: 기도내이물질 흡인이 의심되어 내원한 32명 환아에서, 29명의 chest PA 나 AP와 chest down decubitus를 촬영한 23명과, chest CT를 촬영한 27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영상 소견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. 흉부 엑스레이에서 양성 소견은 편측 폐기종 상태나 radiodensity 가 감소된 경우로 판단하였다. 영상 소견과 기도내 이물 흡인 진단의 민감도, 정확도, 양성 예측도, 음성 예측도를 확인하였을 때, chest AP 나 PA는 50%, 100%, 100%, 29.4% 였으며( P=0.039), chest down decubitus 소견에서는 57.9%, 50.0%, 84.6%, 20.0% 확인되었다. Chest down decubitus만으로는 기도내 이물질 흡인 진단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. ( P=0.772) Chest AP 나 PA와 chest down decubitus 중 하나라도 촬영한 28예에서는 66.6%, 50.0%, 88.8%, 20.0%로 확인되었다.( P=0.001) Chest CT 촬영에서는 100.0%, 85.7%, 95.2%, 100.0% 로 기도내이물질 흡인 진단에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.( P=0.000) 결론: 기도내이물질 흡인이 의심되는 환아에서 chest PA 나 AP를 내원 시 촬영하는 것은 진단에 의미가 있으며, chest down decubitus 촬영은 모든 환아에게 반드시 진행하는 것은 필수적이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. 만약 단순영상소견에서 기도내이물질 흡인을 의심할 소견이 명확하지 않으나 이물질 흡인 병력 및 신체진찰 소견이 이물질 흡인을 강력히 시사한다면 가슴 전산화 단층 촬영을 진행하여 기도내이물질 흡인 여부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.

Keywords: foreign body aspiration, radiologic finding, diagnostic accuracy